엘토스
엘토스 홈

신사역·가로수길 상권 분석 (기초 자료)

소개
정책, 도시 및 개발 계획

유동인구 및 방문자 특성

2025년 1분기 기준, 신사동·가로수길 상권의 일평균 유동인구는 신사역 일대 약 11만 5천 명, 가로수길 약 9만 8천 명 수준으로 추산됩니다. 유입은 오전 7~9시(28%), 점심 11~14시(35%), 오후 18~20시(24%)에 집중되며, 주말 유입 비중은 22%로 상대적으로 낮아, 이 상권이 평일 중심 직장인 수요형 상권임을 시사합니다.
주요 방문층은 20~30대 MZ세대이며, 내국인 78%, 외국인 22%로 구성됩니다. 이 중 외국인 비중은 동남아 43%, 일본·중국권 37%로 집계됩니다. 성비는 행정 통계상 5:5이나, 업계 리서치에 따르면 30대 여성 방문객 비중이 체감상 압도적입니다.
최근에는 소비 위축, 물가 상승, 환율 변동 등으로 전체 유입 수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외국인 유입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상태이며, 교통 호재(신분당선·위례신사선 등)도 아직까지 직접적인 상권 활성 효과로 연결되진 않은 상황입니다.

업종 분포 및 공실률

신사·가로수길은 패션·뷰티·외식 중심의 체류형 상권으로, 플래그십 매장과 라이프스타일 브랜드가 밀집한 구조입니다. 대표 입점 브랜드는 애플스토어, 메종키츠네, 딥디크, 르라보 등으로,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가 해당 입지를 선호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비패션 업종(IT, 키즈, 생활잡화 등)은 희소하거나 이탈 중이며, 업종 편중이 상권의 고착화 및 유입층 제한이라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가로수길 공실률은 약 41.2%로, 서울 주요 상권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1년 28.7% → 2022년 36.5% → 2024년 41.2%로 3년 연속 상승한 수치이며, 신사역 일대 공실률도 28.7%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높은 임대료, 업종 편중, 경쟁 상권(도산공원·성수동 등)의 부상을 꼽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브랜드 리셋 및 거리 마케팅 전략 변화 없이는 공실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주요 건물·핫플레이스 분석

신사역 멀버리힐스: 지하 8층~지상 14층 규모의 대형 복합건물로, 성형외과·피부과 등 헬스케어 클리닉이 밀집된 메디컬 클러스터.
핫플레이스 변동: 10 Corso Como, 카페 스미스 등 상징적 브랜드가 철수하거나 매각되면서 고정 랜드마크의 유동성 확대. 높은 임대료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됨.
주변 시너지: 도산대로, 갤러리아백화점, 신라스테이 등과 연계된 다층 상권. 숙박·의료·F&B 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일시적 소비자 유입 구조보다 체류형 소비 가능성 있음.

매출 및 임대료

임대료 수준: 2024년 4분기 기준 22만5천원, 2025년 1분기 신사동 평균 17만7천원, 골목상권 및 중심 번화가는 30만~50만원 이상까지 다양합니다. 대형 건물은 1평당 50만원 수준의 임대료도 있음.
권리금·고정비: 월세 1,000만 원 이상 사례 다수. 권리금은 대폭 하락하거나 소멸 국면. 고정비 부담이 높아 수익성 악화가 구조화됨.
매매가 추이: 2023~2024년 가로수길 상업용 부동산의 시세 급락 확인. 이는 권리금 소멸 + 임대료 과부담 + 매출 감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투자 수익률 및 리스크

수익률 하락: 2016년 325억에 매입된 상가가 2024년 300억에 거래된 사례처럼, 시세 하락 및 수익률 저하(연 3~4%)가 명확.
개발 제한: 건폐율, 용적률 규제 강화 및 도시계획상 보존지구 지정으로, 신규 개발 여력은 낮음.
대응 가능 전략: 리모델링, 용도 변경, 리테넌시(tenant mix) 개편으로 일부 반등 가능성은 존재.
외부 리스크: 소비 위축, 경쟁 상권 성수동·도산공원 부상, 업종 편중도, 온라인 전환 트렌드, 임대차 분쟁 가능성 등이 중첩됨.

경쟁 상권 비교

압구정로데오: 공실률 8.3%. 유동인구 회복 속도가 빠르고, 명품·중저가 브랜드 조합 강세. 회복력 우수.
청담동: 공실률 17.4%. 장기계약, 글로벌 브랜드 입점, 임대 안정성 높음.
한남동·이태원: 공실률 11.5%. 글로벌 소비자 유입, 외국인·관광객 수요 확대. 젠트리피케이션 활발.
→ 위 상권은 가로수길 대비 공실률 낮고, 매출 회복 속도 빠름. 업종 다변화가 강점. → 가로수길은 특화성은 있으나 업종 집중도가 리스크로 작용.

유망 업종 및 투자 전략 제안

단기 전략: 의료·뷰티 특화 매장(헬스케어·피부과 등) 및 K-뷰티·한류 브랜드의 체험형 매장에 집중. 공실 구간은 리모델링을 통해 소형화 및 개성화 필요.
중장기 전략: 신분당선 연장·위례신사선 등 교통 인프라 수혜 예상. 엔터테인먼트·문화 요소 유치로 상권 리포지셔닝 필요. 고정비 절감 가능한 구조와 규제 혜택 지역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이 중요.
추천 업종: 체험형 F&B, 뷰티·웰니스, 팝업스토어, 소형 플래그십, 공유 리테일·오피스 모델 등.
전체
날짜
이름
NOT EMPTY12
공인중개사사무소 만상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114, 1006호(서초동, 서초 S.R Tower) 대표: 한영실 상담 모바일: 010-6233-8074
엘토스 부동산 건축 컨설팅 주소: 강남구 테헤란로 145 대표: 장지훈 상담 모바일: 010-5772-6000
대표 번호: 02-529-8040 / 이메일: /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