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주제: 미중 간세(관세) 전쟁 이후 환율 전쟁 가능성과 그에 따른 투자 전략 제안
•
강연자: 김영익 교수 (경제 전문가, 증권·금융시장 분석가)
•
핵심 키워드: 트럼프, 미중 무역전쟁, 관세, 환율, 플라자합의, 원달러 환율, 한국 증시 전망
본문 요약
1. 미중 관세 전쟁의 배경과 전개
•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견제하기 위해 관세를 집중적으로 부과.
•
2001년 WTO 가입 이후 중국 GDP가 세계 GDP의 4% → 18%까지 상승.
•
미국은 중국을 향해 최대 145%까지 관세 부과, 중국도 맞불 관세 125% 부과.
•
관세로 인한 악영향:
◦
아이폰 같은 제품의 가격이 폭등 (1,000달러 → 2,450달러 수준)
◦
소비자 물가 상승, 양국 모두 경제적 손실
2. 관세 정책의 실효성 문제
•
무역적자 원인은 관세보다 미국 소비자의 과도한 소비.
•
스티븐 로치 등 일부 경제학자: "관세는 경제 논리에 맞지 않는다"
•
관세로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는 오히려 증가.
•
트럼프 2기에는 중국 외에도 모든 국가에 관세 확대 – 이는 재정적자 감소 목적.
3. 협상과 환율전쟁 가능성
•
2020년 1월 1차 무역 합의 체결: 중국, 미국 상품 추가 구매 약속 → 코로나로 이행 실패.
•
환율 전쟁이 새롭게 등장:
◦
중국은 위안화 가치를 **절하(14%)**해서 관세 효과 무력화.
◦
미국은 이를 환율 조작으로 간주할 가능성.
◦
미 재무부 환율 보고서 발표(매년 4월·10월): 한국·중국 등 주요국 주시 대상
4.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투자 전략
•
현재 원/달러 환율 약 1420원 수준, 상당한 절하 상태
•
원화 가치는 19% 저평가, 코스피는 GDP 대비 24% 저평가
•
원화가 절상될 경우:
◦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성 증가
◦
한국 증시 회복 가능성 높음
•
미국보다 한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전략 제시
결론 요약
주제 | 요약 |
미중 무역 갈등 원인 | 중국 경제 성장 견제, 미국 무역적자 해소 시도 |
관세 효과 | 물가 상승, 무역적자 증가, 실효성 부족 |
향후 전개 | 관세 전쟁 → 환율 전쟁으로 전환 가능성 |
투자 전략 | 원화 절상 국면, 한국 증시 저평가 상태 → 국내 주식 비중 확대 추천 |
참고 및 인사이트
•
역사적 사례 (스무트-홀리 관세법): 보호무역주의가 세계 대공황을 유발한 전례 있음.
•
플라자 합의(1985): 미국이 달러 절하를 유도하여 무역 불균형 조정.
•
김 교수는 현재의 세계 경제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결국 미중 간 협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