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미국의 '부채폭탄, 하반기 경제를 결정짓는 위험 시그널, 국채 시장 안전할까? [클로즈업 '위험한 유동성' 1편]

미국의 '위험한 유동성 장세'와 2025년 하반기 경제 전망

목차

1.
요약
2.
시대 구분: 완화 → 긴축 → 관세 충격
3.
‘위험한 유동성’ 4대 공급 장치
4.
스테이블 코인과 SLR의 정책적 의미
5.
한국과의 비교
6.
결론 및 투자 시사점
7.
FAQ

1. 요약 Summary

2025년 하반기, 미국 경제의 핵심 변수는 "위험한 유동성(Dangerous Liquidity)"이다.
이는 단순한 유동성 공급이 아닌, 거대한 부채 확대와 정치적 정책 변화에 기인한 '불안정한' 유동성이다.
주요 원인:
① 부채한도 상향
② 스테이블 코인 등 민간 매입 주체 동원
③ SLR 완화 등 금융규제 축소
④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핵심 시그널은 더 이상 "물가(CPI)"나 "금리(Fed Fund Rate)"가 아니라, 관세(Tariff)의 공포감 수준이 시장을 좌우함.

2. 시대 구분 – 경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구분
시기
특징
주요 변수
완화의 시대
2020~2021
코로나 대응 → 초저금리·양적완화
유동성 공급 중심
긴축의 시대
2022~2024
초인플레 대응 → 금리인상·QT
물가·금리 시장
관세의 시대
2025~
트럼프 2.0 → 보호무역주의 부활
관세 공포심
역유동성 장세: 금리 인상기 동안 CPI 등 지표에 따라 시장 등락
관세 장세: 관세율 변화에 따라 주가 등락

3. ‘위험한 유동성’ 4대 공급 장치

① 부채한도 상향 및 국채 발행

미국은 부채한도를 상향(약 +5조 달러).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 대규모 국채 발행 불가피.
법인세 감세(OBBA)로 세입 감소 → 국채 의존 심화.
문제: 국채 소화력 저하시, 시장 유동성 왜곡 및 금리 급등 가능성.

②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국채 매입 유도

단기 국채 시장의 민간 매입 주체로 스테이블 코인 활용 가능성 부상.
'클러리티 법안', 'CBDC 금지안' 등 관련 법안은 현재 보류 상태.
민간이 미국채를 매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간접적인 양적완화(QE) 유사 효과.

③ SLR 완화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완화)

은행의 지급 준비 비율(RRR) 완화와 유사한 효과.
예: 100만 원 수신 시 대출 한도를 70만 원 → 90만 원으로 확대.
단기 유동성 확대 가능하나, 은행 건전성 약화 리스크 존재.

④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25년 상반기 금리 인하 미실현.
하반기 인하 기대감은 여전 → 유동성 공급 기대 작용.
금리 인하 현실화 시 자산시장 단기 반등 가능성.

4. 스테이블 코인과 SLR: 정책의 이중성

구분
정책 수단
장점
단점
스테이블 코인
국채 수요 창출
연준 외 민간 수요 유도
크립토 시장 의존 심화
SLR 완화
대출 여력 증가
단기 부양 효과
은행 시스템 리스크↑

5. 한국과의 비교

항목
미국
한국
국채 발행
부채한도 상향 → 급증
추경 → 재정 확대
스테이블 코인
입법화 시도 중
제도화·입법화 검토 중
금융규제
SLR 완화
상법 개정 (집중투표제, 감사 분리 등)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인하 여지 검토 중

6. 결론 및 투자 시사점

25년 하반기 자산시장 키워드는 단연 ‘위험한 유동성’.
이 유동성은 중앙은행의 정책 여력보다 정치적, 재정적 동기에서 비롯됨.
핵심 변수는 ‘관세’의 강화/완화 정도이며,
실제 관세 부과보다 **‘공포감 조성’**이 시장을 좌우하는 경향.
국채시장 불안정성은 글로벌 자산시장에 큰 충격 가능성 내포.
중장기적 포트폴리오 전략에서는 금리·환율 민감 자산보다
리스크 분산형, 실물 자산, 배당주 기반 전략이 요구됨.

7. FAQ

Q1. 왜 ‘유동성’이 위험한가요?

단순한 ‘양적 완화’가 아니라 국채 발행→민간소화→금리불안→시장신뢰 저하로 이어지는 고리 구조 때문입니다.

Q2. 스테이블 코인 매입은 QE와 다른가요?

연준(Fed)이 직접 매입하는 QE(QE)는 공식 통화정책,
스테이블 코인 매입은 비공식 민간차원 유동성 공급에 가깝습니다.

Q3. 트럼프 행정부 복귀는 왜 관세가 중요하죠?

트럼프 2.0은 보호무역주의 회귀 + 국내 산업 보호 = 관세 강화 정책 핵심
관세 인상 → 물가 급등 우려 → 금리 인하 제약 → 자산시장 부정적

데이터 및 출처

CPI, 국채 발행량: 미국 재무부, Fed 자료 기반
관세 자료: USTR(미국 무역대표부) 2025년 상반기 발표 기준
스테이블 코인/SLR: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