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요식업 몰아보기] "손님들 돌아와요" 자영업자들의 절규

[요식업 몰아보기] "손님들 돌아와요" 자영업자들의 절규

1. 파리바게뜨의 몰락

한때 한국 베이커리 시장의 절대강자였던 **파리바게뜨(SPC그룹)**가 최근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영업이익이 1/4 토막 나고, 대전의 성심당에게마저 매출에서 밀림.
해외 진출(중국, 미국, 베트남 등)도 실패하며 적자 지속.
SPC 그룹의 원재료 가격 부풀리기, 과징금 이력, 내부 거래 문제 등도 악재로 작용.
빵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하며 소비자들이 이탈(예: 생크림 슈 가격이 5,600원).
반면 성심당, 노티드 도넛, 런던 베이글 같은 신흥 베이커리들이 성공하는 이유:
전국적인 확장보다는 선택과 집중 전략.
빠르게 트렌드를 반영하는 유연한 운영 방식.

2. 스타벅스의 위기

한때 국민 커피 브랜드였던 스타벅스도 최근 실적 악화.
신세계 이마트가 스타벅스 지분을 인수한 이후, 가격 인상과 서비스 질 저하 논란.
4,100원이던 아메리카노 가격이 10% 이상 인상.
스타벅스 굿즈 문제(예: 발암물질 캐리백 논란)로 브랜드 신뢰도 하락.
바리스타 직원들의 불만 증가(트럭 시위 진행).
커피 맛도 예전만 못하다는 소비자 평가 증가.
리저브 매장 실패: 고가 전략이 소비자들에게 외면당함.

3. 맥도날드의 몰락

한국 맥도날드, 최근 5년간 누적 적자 1,500억 원 돌파.
같은 패스트푸드 업계(버거킹, 맘스터치)는 매출 증가 중.
햄버거 크기 축소 & 가격 인상(빅맥이 주니어 버거 크기로 변함).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으며 지점 수 급감.
한국 맥도날드는 결국 카타르 투자회사에 5,000억 원에 매각됨.
그러나 맥도날드 본사는 매출의 5%를 프랜차이즈 수수료로 받으며 손해 없음.

4. 베스킨라빈스(베라)의 위기

한국에서 빙과류 시장 축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 정책을 유지해 소비자 반발.
베라의 재료 원가율 50~55% 수준, 타 프랜차이즈보다 높은 원가 부담.
매출 하락에 따라 가맹점 양도 증가.
건강 트렌드 확산으로 제로 칼로리, 저당 아이스크림 시장 성장 중.
신흥 브랜드 라라스윗 등 저칼로리 아이스크림의 성장으로 시장 점유율 잠식.

5. 파인 다이닝(고급 레스토랑)의 어려움

승우아빠, 안성재 셰프 등도 고급 레스토랑 운영 실패.
임대료, 원재료비, 인건비 부담이 너무 큼.
미슐랭 3스타를 받아도 유지가 어려움.
파인다이닝 시장 자체가 한정된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지속 성장 어려움.

6. 국내 카페 시장의 포화 상태

전국 카페 수 10만 개 돌파 (편의점의 2배).
과당경쟁으로 프랜차이즈 및 개인 카페 폐업률 상승.
스타벅스마저 영업이익 반토막, 투썸·이디야·할리스 등도 실적 악화.
커피빈은 최근 2년간 폐점률 40% 기록.
브라질 이상기후로 원두 가격 폭등 예상 → 내년 커피값 인상 불가피.

7. 치킨 업계의 변화

한때 1위였던 교촌치킨이 BHC·BBQ에 밀려 하락세.
치킨 한 마리 3만 원 시대에 소비자 불매 운동 확산.
교촌의 배달비 인상, 원재료비 상승 등의 이유로 소비자 이탈.
반면, 경쟁사들은 빠르게 가맹점 수 확대하며 시장 점유율 증가.

8.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상장 논란

더본코리아(백다방, 새마을식당 등) 상장 추진 중.
일부 가맹점주들과 갈등 발생(연돈볼카츠 매출 문제).
더본코리아의 기업 가치가 지나치게 고평가(4~5천억 원) 논란.
국내 요식업 시장 저성장으로 인해 투자 가치 의문.

9. 결론

국내 요식업계 전반적으로 침체기.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가격 부담, 건강 트렌드가 기존 강자들에게 불리한 환경을 조성.
성공하는 브랜드들은 빠른 트렌드 반영과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방식으로 변화.

핵심 요약

파리바게트 → 가격 인상 + 소비자 이탈 + 신흥 브랜드 성장
스타벅스 → 가격 인상 + 서비스 질 저하 + 직원 불만
맥도날드 → 햄버거 크기 축소 + 가격 인상 + 지점 폐쇄
베스킨라빈스 → 원가 부담 + 건강 트렌드로 소비 감소
파인다이닝 → 유지비 과다 + 폐업 증가
카페 시장 → 과당 경쟁 + 프랜차이즈 매출 감소
치킨 업계 → 교촌의 하락, BHC·BBQ의 성장
더본코리아 → 상장 추진 중 논란
이 영상은 최근 요식업계의 변화와 위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가 기존 강자들의 몰락을 불러오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