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주택 양도 시 절세 노하우와 주의할 점 5가지 (feat. 세무사 김동환)
상가주택, 혹은 겸용주택을 양도할 때는 단순한 부동산 매매 이상의 세무적 고려가 필요합니다. 특히 2022년 세법 개정 이후, 고가 주택에 대한 과세 방식이 변화되면서, 절세 전략의 필요성이 더 커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세무사 김동환님의 설명을 바탕으로, 상가주택 양도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5가지 절세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
1. 고가 상가주택의 과세 방식 변화 (12억 기준)
2022년 1월 1일부터, 양도가액이 12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 면적에서 주택이 상가보다 크더라도 1세대 1주택 비과세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주택 부분은 비과세 가능
•
상가 부분은 일반과세 (양도세 부과)
2. 주택·상가 구분기재 및 안분 방법
매매계약서 작성 시 토지·건물가액의 구분 기재가 매우 중요합니다.
•
감정평가액이 있다면 기준이 되고, 없을 경우 기준시가로 안분
•
단, 세법상 안분액과 매매계약서상의 구분 기재액이 30% 이내여야 함
3. 다가구주택 요건 충족 여부 점검
겸용주택이 '1세대 1주택 비과세' 대상이 되기 위해선 다가구주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옥탑, 불법 증축, 용도변경 등이 있으면 다가구 → 다세대 전환되어 비과세 불인정
4. 용도변경 관련 주의사항
양도 직전 상가를 주택으로 용도 변경하여 비과세 요건을 갖추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
용도변경일 기준으로 비과세 요건 충족 여부 판단
•
매매계약서에는 잔금일 전 용도변경 사실을 특약사항으로 명시해야 함
5. 상가 건물의 부가가치세
겸용주택 양도 시
•
주택과 토지는 부가세 면세
•
상가 건물분은 부가세 10% 부과
단, ‘포괄양수도’ 방식이면 부가세 없이 거래 가능하지만,
•
철거 목적, 자가 사용 등 일반 목적이라면 반드시 부가세 징수해야 합니다.
결론: 전문가 상담과 계약서 전략이 절세의 열쇠
상가주택 양도는 단순 매매가 아닌 세무전략이 반영된 계약 행위입니다.
•
세법 개정 내용 숙지
•
구체적인 안분 전략
•
건축 구조 및 용도 확인
•
계약서 문구 명확화
이 모든 요소를 사전에 체크하면 수천만 원의 세금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