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내용 요약
1.
모텔을 구입한 이유
•
광주 충장로에 위치, 젊은 유동인구가 많은 상권
•
기존 모텔들이 낡고 촌스러워 리모델링하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
2.
1차 리모델링과 실패
•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개조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저가 마감재 사용
•
시간이 지나면서 시설이 낡고, 조명도 어두워 고객 불만 증가
•
경쟁 프랜차이즈 모텔이 등장하면서 매출 하락
3.
2차 리모델링 계획
•
예산: 2억 원 (기존 견적 5억 원 대비 부족)
•
전 객실이 아닌 일부 객실(18개)만 고급스럽게 리모델링
•
‘경험’ 중심의 공간 기획 → 단순한 숙박 공간이 아닌 ‘체험’ 제공
4.
인테리어 과정
•
컨셉 정리: 아늑한 분위기, 감성적인 공간 연출
•
색상 조합: 2016년 팬톤 컬러 로즈 쿼츠 & 세레니티,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스타일 참고
•
직접 목공 및 도면 작업 시도, 비용 절감을 위해 스스로 해결
5.
운영 전략 및 고민
•
숙박 앱 의존 줄이기: 야놀자·여기어때 광고비 절감, 네이버 예약 활용
•
인건비 절감: 무인 시스템 도입, 셀프 체크인·체크아웃 방식 도입
•
객단가 상승 전략: 호텔급 서비스 제공, 감성적인 인테리어로 차별화
•
장기 경쟁력 유지: 유행 타지 않는 디자인, 지속 가능성 고려
6.
매출과 순수익 분석 (1년 후)
•
연매출: 4억 700만 원
•
연간 비용: 2억 864만 원
•
영업이익: 약 1억 8백만 원
•
숙박 앱 광고비를 절감하고, 무인 운영을 통해 운영 비용을 최소화한 것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
7.
결론
•
단순히 시설을 새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
•
높은 광고비와 인건비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함
•
기존 모텔·호텔과 다른 개념의 새로운 숙박 형태(‘인’이라는 개념 도입) 시도
핵심 메시지
•
모텔 운영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인테리어가 아니라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
•
숙박 앱의 높은 광고비와 경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브랜딩과 자체 홍보 전략 필요
•
무인 운영과 효율적 비용 관리가 성공적인 운영의 핵심
이 영상은 모텔, 호텔, 숙박업 창업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실질적인 운영 전략과 시행착오를 솔직하게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