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무한리필 샤브샤브로 월 2억 매출내도 안 남는 이유 - 최악의 창업을 보시겠습니까?

무한리필 샤브샤브 창업,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월 매출 2억 원을 올려도 수익이 나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여러분! 샤브샤브 좋아하시나요?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음식인 샤브샤브가 최근에는 고기 무한리필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이런 무한리필 샤브샤브 매장이 월 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도 수익이 나지 않는 구조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 무한리필 샤브샤브 창업의 현실과 위험성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해보겠습니다.

한국에서 샤브샤브의 대중화 과정

샤브샤브는 원래 일본식 중화 요리로, 1980년대에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았죠.
그러다 2000년, '정성본'이 샤브샤브와 칼국수를 결합한 형태를 선보이며 대중화에 성공합니다. 이후 2004년부터 **‘채선당’**이 가맹 사업을 시작하며 샤브샤브 전문 브랜드가 급격히 성장했죠.
최근에는 기존 샤브샤브와 차별화된 ‘무한리필 샤브샤브’ 브랜드가 인기를 끌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채선당 한가득, 샤브올데이 등이 있죠.

무한리필 샤브샤브 창업의 급성장

특히 ‘샤브올데이’는 배우 김수현을 모델로 내세우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매장 수는 **59개(2024년 10월 기준)**로, 1년도 안 되는 사이에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의 재무 상황을 살펴보면 문제가 있습니다. 원래는 자본 잠식 상태였던 회사가突2023년 11월, '명륜진사갈비'를 운영하는 명륜당이 브랜드를 인수하면서 빠르게 확장하게 된 것이죠.
하지만, 이런 급격한 확장이 과연 지속 가능한 모델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무한리필 샤브샤브의 구조적 문제

고기 무한리필 샤브샤브가 일반 무한리필 고깃집과 가장 큰 차이점은 뷔페형 운영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다양한 음식과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① 원재료비 부담 증가

샤브샤브는 본질적으로 야채 소비량이 많고, 육수 및 각종 부가 재료 비용이 발생합니다.
최근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인해 원재료비가 50% 이상을 차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고객들은 기본적으로 "최대한 많이 먹고 가야 한다"는 심리를 가지고 있어 음식 낭비도 심각합니다.

② 낮은 수익성 구조

1인당 이용 가격이 높아 보이지만, 음식 원가 비율이 매우 높아 실질적인 마진율은 낮음.
가족 단위 손님이 많아, 맥주 등의 추가 매출을 기대하기 어려움.
맥주 무료 제공 정책으로 인해 주류 매출이 오히려 감소.

③ 대형 매장의 높은 운영비

대부분 100평 이상의 대형 매장으로 운영해야 함.
인테리어, 주방 설비, 직원 인건비, 관리비 등 고정비 부담이 매우 큼.
최소 7억~10억 원 이상의 창업 비용이 필요하며, 단기간에 원금 회수가 어려움.

실제 창업 비용과 매출 분석

샤브올데이 창업 비용 (80평 기준)
가맹비: 2,640만 원
교육비: 528만 원
오픈비: 704만 원
예치 가맹금: 3,875만 원
인테리어 및 시설비: 약 4억 3,400만 원
별도 비용(간판, 에어컨, CCTV 등 포함 시): 총 창업 비용 7억 원 이상
100평 이상 매장 창업 시, 10억 원 이상 필요
매출 분석 (100평 기준)
1일 최고 매출: 약 1,600만 원 (5회전 기준)
현실적인 매출: 최대치의 60~70% (약 1억 2천만 원)
월 예상 매출: 2억 원
운영 비용 (원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등): 약 1억 8,500만 원
순이익: 1,500만 원 수준 → 투자 대비 낮은 수익률
결국, 초기 창업비 10억 원을 회수하는 데 5년 이상 걸리며, 매출이 줄어들면 수익을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무한리필 샤브샤브 창업, 신중해야 하는 이유

1. 창업 비용이 너무 높다
2. 원재료비 부담이 크고 마진이 낮다
3. 고객들의 음식 낭비가 많아 재료 로스율이 높다
4. 가족 단위 고객이 많아 추가 매출 기대가 어렵다
5.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다
결국, 무한리필 샤브샤브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성비가 좋지만, 창업자 입장에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결론: 돈을 벌려면 ‘무한리필’은 피하라!

뷔페 비즈니스로 성공하려면 최소 6~10만 원 이상의 고급 뷔페 형태여야 합니다.
현재 유행하는 1~2만 원대의 무한리필 구조는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음식을 제공하지만, 창업자의 수익성은 극도로 낮은 위험한 모델입니다.
창업을 고민하시는 분들이라면, 유행만 보고 섣불리 뛰어들지 마시고 신중하게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분석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