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몰락중인 대형프랜차이즈 몰아보기] 대한민국 주요 프랜차이즈가 망해가는 과정

이 영상은 대한민국의 주요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어떻게 성장하고, 현재 어떤 위기에 직면했는지를 분석하는 내용입니다. 치킨 프랜차이즈, 저가 맥주 브랜드, 저가 커피 브랜드 등 다양한 업종에서 경쟁과 비용 상승으로 인해 점주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과정이 설명됩니다.

주요 내용 요약:

1.
치킨 프랜차이즈 시장 분석
국내 치킨 시장의 총 매장 수는 2022년 기준 약 44,436개.
교촌치킨, BHC, BBQ 3대 브랜드가 전체 치킨 프랜차이즈 시장의 약 70% 차지.
2023년 기준 매출 1위는 BHC, 2위 BBQ, 3위 교촌으로 교촌이 역성장.
공격적인 매장 확장을 진행한 BHC, BBQ와 달리 교촌은 보수적인 전략 유지.
가맹점의 평균 매출과 순이익 비교 시 교촌이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하지만, 매출 하락세가 뚜렷함.
창업 비용이 높은 편이며, 순수익률(배달 중심 매장 기준)은 5% 수준.
본사의 높은 원재료 마진과 배달 수수료 상승으로 가맹점주들의 수익성이 악화됨.
2.
저가 맥주 시장의 위기
1,900원 저가 맥주 브랜드들이 우후죽순 등장.
대표적인 브랜드로 '생마루'가 급성장했지만, 유사 브랜드들이 난립하면서 경쟁이 심화됨.
봉구비어와 같은 과거 저가 맥주 트렌드와 유사한 양상.
생마루도 일본 저가 맥주 브랜드 ‘신지다이’에서 컨셉을 가져온 것.
점주들의 매출 감소와 경쟁 과열로 인해 시장이 빠르게 포화 상태에 도달.
2025년에는 저가 맥주 브랜드들이 대거 퇴출될 가능성이 높음.
3.
저가 커피 브랜드의 한계
국내 커피 전문점 수는 10만 개 이상으로 시장이 포화 상태.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빠르게 증가하며 1,500원 커피 경쟁이 심화됨.
원두 가격 상승과 임대료 부담으로 인해 점주들의 수익성이 감소.
2025년에는 저가 커피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며, 기존 점주들의 폐점율 증가 가능성이 큼.
4.
스타벅스의 독점 전략과 점주(임대인)들의 어려움
신세계가 스타벅스 코리아의 지분을 100% 인수한 후, 공격적인 매장 확장을 진행.
기존 점주들에게 불리한 임대료 협상 및 일방적인 정책 도입.
구독 서비스(버디패스)와 배달 서비스(딜리버스)를 통해 본사는 수익 증가, 점주들의 수익은 감소.
매출 대비 임대 수수료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며, 스타벅스 매장을 보유한 건물주의 수익성이 악화됨.
5.
다이소의 뷰티 시장 진출
생활용품 위주였던 다이소가 뷰티 제품 판매에 집중하며 성장.
올리브영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며, 저가 뷰티 제품 라인업을 강화.
다이소의 공격적인 뷰티 제품 확장이 국내 헬스앤뷰티 시장을 재편할 가능성이 있음.
6.
프리미엄 브랜드의 몰락 - 블루보틀 사례
한국 시장 진출 초기에는 대기 줄이 길었지만, 현재는 빠르게 관심이 줄어듦.
희소성 전략에서 대형 쇼핑몰 입점으로 방향을 전환했지만, 브랜드 정체성을 잃음.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순이익 감소, 지속 가능한 성장이 어려운 구조.

결론:

대한민국 프랜차이즈 시장은 빠른 성장 후 과잉 경쟁과 원가 상승, 임대료 부담 등의 문제로 인해 점주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중.
특정 업종(치킨, 저가 맥주, 저가 커피)의 경우, 한때 급성장했으나 현재는 포화 상태에 접어들며 도태되는 브랜드가 많아지고 있음.
대기업 중심의 프랜차이즈 운영 구조에서 점주(가맹점)들의 희생이 지속되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저가 전략에 의존하는 브랜드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력을 잃고 퇴출될 가능성이 높음.
다이소처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이 더 지속 가능할 수 있음.
이 영상을 통해 대한민국 프랜차이즈 시장의 현실과 점주들의 어려움을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창업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신중한 판단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