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북한군 파병, 한국 안보 이익에 반하지 않는다" 첫 공식 입장
러시아가 북한군의 자국 파병과 관련해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와 북한 간 협력은 국제법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안보 이익에 반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은 "국제법을 정면으로 위반한 행위"라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사실이 확인된 이후, 러시아가 이에 대한 공식 반응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균 외교부 제1차관은 오레그 진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협력이 국제사회의 중대한 안보 위협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는 즉각적인 북한군 철수와 관련 협력 중단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러시아 측 반응도 나왔습니다. 외교부 차관의 면담이 있은 후 약 두 시간 뒤, 진노비예프 대사는 SNS를 통해 "러시아와 북한 간 협력은 국제법의 틀 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안보 이익에 반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한반도 긴장 고조의 원인에 대해 러시아와 한국이 서로 다른 입장을 갖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 사안을 바라보는 시각 차이를 드러냈습니다.
외교 소식통들은 이번 러시아 측 입장이 북한군 파병 사실을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특수부대를 이끄는 크로테비치 참모장은 SNS를 통해 "북한이 가장 전투력이 강한 부대를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했다"고 밝히며, 한국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NATO의 마르크 뤼터 사무총장과 전화통화를 갖고, NATO 회원국들과 함께 실질적인 대응 조치를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뤼터 사무총장도 "북한군 파병은 국제법과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행위"라고 비판하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한국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과 관련해 "살상 무기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