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한국만 중국을 잘 모르고 있다, '진짜 중국을' 솔직히 알려드리죠 (이욱연 교수)

전세계가 중국을 혐오한다고? 한국인 99%가 착각하고 있다 (이욱연 교수)

개요

최근 미국과 중국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치열한 기술·경제 전쟁.
이욱연 교수는 “한국인 99%가 세계를 오해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과연, 진짜 세계는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 걸까요? 이욱연 교수의 분석을 따라가봅니다.

본문

1. 미국 vs 중국: 관세전쟁의 본질

미국: 트럼프 1기 때부터 기술 패권을 지키기 위해 중국을 강하게 압박.
중국: 초기엔 협상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정면 맞대응” 전략으로 변경.
‘상호 관세’가 아닌 ‘대등 관세’라는 번역을 사용 → 같은 강도로 맞대응한다는 뜻.
"10을 때리면 10을, 100을 때리면 100을 때린다"는 것이 중국 정부의 기본 입장입니다.

2. 중국이 맞대응할 수 있게 된 이유

체제 차이: 중국은 권위주의 체제 → 단기 민심에 연연하지 않음.
미국 의존도 감소:
대미 무역 비중: 2018년 19% → 2024년 14.8%로 하락.
GDP 대비 대미 수출 비중도 소폭 감소.
내수 성장: 내수 비중이 확대되어, 대미 무역 감소를 상쇄할 여력이 생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
아프리카, 중남미, 동남아 시장을 집중 공략.
화웨이, ZTE 같은 기업이 미국 대신 제3세계로 진출.
첨단 산업 경쟁력 강화:
5G, 드론, AI, 로봇 분야 등에서 미국과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힘.

3. 실제 세계의 반응

한국: 여전히 "미국 중심" 사고 → 미국 선호 비율 80~90%.
남미·아프리카·동남아: 오히려 중국에 더 친밀함을 느끼는 경우 많음.
피유리서치(Pew Research) 조사 결과 참고.
즉,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전세계는 모두 중국을 싫어한다’는 인식은 부분적 사실일 뿐, 글로벌 사우스에서는 오히려 중국이 지지를 얻고 있다는 겁니다.

4. 중국인들의 민심

현재 중국인들 다수는 미국에 대한 반감애국심을 바탕으로 정부의 강경책을 지지.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서는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여론이 다수.
과거 마오쩌둥 발언(“미국은 종이호랑이다”)까지 소환하며 결사항전 분위기.

5. 리스크: 그러나 중국 내부의 불안감도 존재

무역 업자, 중소 공장 노동자들은 타격 체감.
"내수 활성화"를 외치지만, 현실은 소비 심리 위축 → 불만 표출도 일부 존재.
즉, 표면적으로는 강경하지만, 깊숙이 들어가면 경제적 불안 요소는 분명히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결론

이욱연 교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세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단순하지 않다."
미국과 중국은 ‘기 싸움’을 벌이는 중이고,
중국은 대미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사우스 시장을 적극 공략하면서, 나름의 대응 전략을 구축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의 시각과 달리, 세계는 오히려 중국을 선택하는 국가들도 많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결국, 한국인들이 '전 세계가 중국을 혐오한다'고 단정하는 것은 착각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