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변동성 많은 미국, 지금이 리스크의 '절정'이라면 뭘 보고 투자해야하나? f. 이코노미스트 김한진 박사 [글로벌 인터뷰]

개요

최근 미국 경제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극심해지는 가운데, 이코노미스트 김한진 박사는 이를 ‘트럼프 모멘트’, 그리고 **‘관세 불확실성의 정점’**으로 진단하며, 투자자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주요 내용 요약 및 해석

1. 미국 국채 금리 및 달러 변동의 심각성

단기적으로 미국 국채금리가 50~60bp 급등, 달러가 3~4% 하락 → “신흥국 수준의 변동성”
이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위험 프리미엄’이 미국 국채에도 붙고 있다는 경고 신호
해석: "미국 국채가 더는 절대 안전 자산이 아닐 수 있다"는 시장의 의심이 퍼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대한 시그널.

2. 트럼프 관세 정책과 ‘트럼프 모멘트’

4월 2일 발표된 관세안, 그 후 시장은 혼란
트럼프의 벼랑 끝 전술과 발언 뒤집기로 인해 불확실성 극대화
과거 영국의 ‘리즈 트러스 모먼트’와 유사한 구조 → “이번엔 트럼프 모멘트”
포인트: 정제되지 않은 정치 발언 하나하나가 시장을 흔드는 "정치 리스크"의 시대

3. 미국 재정 문제와 구조적 금리 상승

국채 발행 증가 → 이자비용 급증 → 재정 수입을 상쇄
정부의 확장 재정이 지속되면서 금리는 계속해서 우상향 압력
장기적으로 GDP 대비 국가 부채 120% 돌파 예상
전망: 경기침체가 와도 금리는 내려가지 않음. 이는 기존의 경제 공식(침체 = 금리 인하)을 뒤엎는 구조.

4. 투자 원칙 제안

매일 바뀌는 매크로 뉴스에 휘둘리지 말 것
레버리지 투자, V자 반등 기대 심리는 위험
방향성을 설정한 장기적 접근이 중요
실적 안정적인 섹터 중심
밸류에이션 낮고 이익 변동성 적은 업종 선별
핵심: “마켓 뉴스가 아닌, 기업 실적이 판단 기준이어야 한다”

5. S&P500 향후 예측

관세가 1015%로 유지된다면 → **미국 GDP 성장률 0.70.8%**
이에 따른 S&P500 EPS 성장률은 0~3%
상단은 5,600~5,700P 돌파 어려움, 저점은 4,800P 수준 가능
정리: 시장은 박스권에 갇힐 가능성이 크며, 큰 폭의 상승 여력은 제한적.

6. 기축통화 지위의 위험

레이 달리오의 경고 인용: “기축통화국은 결국 몰락할 씨앗을 스스로 심는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관세 강화 → 달러의 위상 약화 촉진
한국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관세 협상 테이블에서 모범 사례로 수혜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국부 유출중장기적 불이익 불가피

결론: 지금 투자자가 가져야 할 전략

구분
전략 방향
관점
매크로 → **미시(기업 중심)**로 전환
리스크 관리
보수적 접근, 실적 기반 매수/매도 판단
포트폴리오
밸류에이션 낮고 실적 안정적인 섹터 집중
심리
단기 뉴스에 반응하지 말고 방향성 유지

전문가 멘트 요약 (김한진 박사)

“미국이 망하면 다른 나라가 먼저 망합니다. 지금은 경제 쇼를 보는 시기입니다. 너무 매크로에 빠지지 말고, 실적과 펀더멘탈을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