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앞으로 전세 지옥이 펼쳐진다 전월세 시장 발칵 뒤집혔다 (이광수 대표 , 광수네복덕방 / 풀버전)

주요 내용 요약

1.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 이해

부동산 시장은 계절의 변화처럼 변동이 필연적이다.
주식과 부동산 투자 모두 변화를 읽는 것이 중요하며, 전망이 핵심이다.
전망을 위해 시장을 움직이는 변동 요인을 분석해야 한다.

2. 미국 플로리다 주택 시장 사례 분석

플로리다의 특징:
따뜻한 기후, 바다, 낮은 세금(특히 상속세 없음)으로 인기가 높음.
부유층과 은퇴자들이 몰려들어 인구 증가.
그러나 집값 폭락:
팬데믹 이후 집값이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 중 하나.
급등한 가격으로 인해 유효 수요(실제 구매 가능 인구)가 감소.
2023년부터 수요가 줄며 거래량 감소, 2024년부터 매물이 증가하며 가격 하락.
부동산 시장에서 "살고 싶은 곳"이더라도 가격이 높으면 구매가 어려움.

3. 한국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문제

서울 아파트 가격의 변화

2006년부터 실거래 가격을 보면, 2016년까지는 실질 가격 상승이 미미함.
2017년부터 급격한 가격 상승이 시작됨.
부동산 가격이 급등할 경우, 수요(구매 여력 있는 사람들)가 감소하는 구조.
매물이 증가하는 시점이 되면 가격이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함.

현재 서울 부동산 시장 상황

2024년 초,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했으나 지속 가능성이 낮음.
이유: 대출(부채)을 기반으로 수요가 증가했지만, 이는 한계가 있음.
30~40대가 가장 적극적으로 집을 샀지만, 이미 부채비율이 120%에 달해 추가 매수 여력이 부족함.

4. 부동산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

1) 유효 수요 감소

집을 살 수 있는 구매력이 있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음.
대출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많아지고, 부채 부담이 커짐.

2) 매도 물량 증가 (특히 50~70대 고령층의 매도)

50대 이상 세대는 주택을 팔고 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매도 비중이 큼.
고령층의 매도 이유:
집값이 충분히 올랐기 때문에 차익 실현 욕구가 큼.
임대 수익률이 낮아, 가격이 오르지 않으면 보유할 이유가 적음.
자산 분배(증여, 상속) 과정에서 매도가 활발해질 가능성.

3) 투자 성격이 강한 시장 특성

한국 부동산 시장은 실거주보다 투자 목적의 보유 비중이 높음.
투자 시장에서는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를 수 없으며, 변동성이 클 수밖에 없음.
강남 일부 지역에서 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투자 심리가 반영된 결과일 뿐, 지속 가능성이 낮음.

5. 전세 시장과 매매 시장의 관계

입주 물량이 줄어들면 전세 가격은 오를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전세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매매 가격이 반드시 상승하는 것은 아님.
2009~2013년에도 전세가격이 올랐지만, 매매 가격은 하락한 적 있음.
전세 가격이 올라도, 대출 부담이 커져서 매매로 전환하는 수요가 크지 않음.
갭투자 증가 가능성이 낮아졌으며, 투자자들도 가격 상승 기대감이 낮은 상황.

6. 강남 부동산 전망

강남 아파트 가격은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2022년 강남도 30% 이상 가격이 하락했음.
최근 다시 가격이 오르는 현상은 있지만, 이는 매물 부족 때문.
강남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투자 목적 보유 비중이 높아, 시장 변동성이 크다.
시간이 지나면서 거래가 되지 않으면 다시 하락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큼.
강남 아파트의 투자 수익성이 낮아질 경우,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으면서 하락이 본격화될 수 있음.

7. 결론 및 전망

1.
현재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핵심 특징:
유효 수요 부족 (구매할 수 있는 사람들의 감소)
50대 이상 고령층의 매도 증가
투자 목적 보유 비중이 높아 변동성이 큼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 있음
2.
전세 시장과 매매 시장의 구분 필요:
전세 가격 상승 ≠ 매매 가격 상승
전세 가격 상승이 일어나더라도, 매매 시장이 상승할 가능성은 낮음
3.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하락 전망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상승 흐름이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지속 불가능한 구조.
매도 물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큼.
2025년 이후 본격적인 변화 가능성이 있으며, 무주택자라면 신중한 접근이 필요.

핵심 요약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장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부채를 기반으로 한 유효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며, 매도 물량(공급)이 증가 중.
강남 지역도 투자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결국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2024년 하반기 이후 본격적인 조정 국면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음.
전세 가격 상승이 매매 가격 상승을 보장하지 않으며, 갭투자도 줄어드는 추세.
무리한 대출을 이용한 주택 구매는 위험할 수 있으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