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새 아파트에 골치 아픈 문제가 숨어 있습니다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자)

새 아파트, 왜 ‘등기’가 안 나올까? – 재건축 아파트 입주민의 불편

핵심 요약

새 아파트에 입주했는데도 ‘등기’가 수개월 동안 나오지 않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
등기 지연은 ‘이전 고시’가 늦어지기 때문
이전 고시는 ▲준공 ▲관리처분계획 확정 ▲대지 측량 확정 등 3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가능
이 절차가 끝나야 개별 세대의 소유권 보존등기가 가능

왜 이렇게 오래 걸릴까?

1.
행정 관행 문제
구청 고시(‘구보’)가 일주일에 한 번 발행 → 고시만으로도 2주 이상 소요
부서별 회람을 거쳐야 하는 서류 검토 과정의 비효율성
2.
정비 기반시설 미비
공원, 도로, 하수도 등 부대시설 완공이 늦어지면 등기 역시 지연
대표 사례: 둔촌주공, 공덕자이, 헬리오시티 등
3.
조합 내부 소송과 갈등
조합원 간 분쟁, 보상 갈등 → 10년 가까이 등기 지연 사례도 존재
입주 후 소송으로 8억 원 배상 판결 사례도 있음

등기가 늦어질 경우의 리스크

대출 불가: 잔금 집단대출은 가능하나, 개별 주택담보대출은 불가
거래가 제한됨: 등기 없는 아파트는 매매 및 전세거래에 불편
가격 하락: 등기 미발급 아파트는 시세 대비 1~2억 원 낮게 거래
법적 분쟁 가능성: 등기 이전 전 거래 시, 추가 분담금이나 법적 책임 발생 가능

그럼에도 거래는 가능하다?

등기 없이도 공급계약서, 조합원 명부, 토지 등기부등본 등을 통해 신뢰 확인 가능
하지만, 위조 가능성 또는 조합 소송에 따른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

대안은 없을까? – 권원보험 논의

*‘권원보험’**이란: 등기를 믿고 부동산을 샀다가 법적 권리 문제로 피해를 봤을 경우 보상해주는 제도
영국: 국가가 보장
미국: 민간 보험 활성화
한국: 도입 논의 부족, 취득세 활용한 국가 보장 보험 필요성 제기

결론

“등기 지연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국민 재산권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입주 후 6개월~1년 이내는 일반적 지연 범주
그러나 소송이나 기반시설 문제로 수년 지연 시 법적·경제적 손해 발생
거래 전 반드시 등기 여부와 관련된 리스크를 꼼꼼히 확인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