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한국은행 금리동결, 관세전쟁의 불확실성에 금리결정 미뤄 [즉시분석]

개요

영상 핵심 주제
2025년 4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리 인하 추세와 국내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 갈등 심화(관세 전쟁)**이라는 불확실성에 대한 ‘신중한 대응’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분석 포인트 요약
기준금리 인하 기조 속 일시적 동결 결정
세계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전환 흐름
미국과 금리차, 원달러 환율, 무역 갈등 등의 복합 변수
물가, 금융시장, 경기 세 가지 축을 기준으로 분석

본문

1. 금리 동결의 배경

기준금리 흐름:
2024년 10월, 11월, 2025년 2월에 세 차례 인하 → 현재 2.75% 유지
→ 인하 기조 유지 중이지만, 4월에는 동결
한미 금리 차이 문제:
미국은 5.5%, 한국은 2.75% → 1.75% 차이
→ 추가 인하 시 2%로 벌어지며 외환시장 불안 우려
→ 특히 강달러 → 원화 약세 → 수입물가 상승 → 인플레 압력 재유발 가능성

2. 글로벌 통화정책 흐름

미국: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무역 불확실성 관망
유럽/캐나다/스웨덴 등: 한국보다 빠른 금리 인하 단행
→ 예: 스위스 0.25%, 유로존 2.65%, 스웨덴 2.25%
글로벌 트렌드통화정책 완화, 하지만
→ **관세 전쟁(무역 갈등)**으로 “피벗 일시 중단” 흐름

3. 금리 결정 메커니즘: 물가 / 금융안정 / 경기

① 물가 상황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 2.1%, 근원물가: 1.9%
한국은행 목표 물가: 2.0%
→ 목표 부합 수준
물가만 보면 인하 정당성 확보

② 금융시장 안정성

원달러 환율: 안정화 추세 (1400원 초반)
미국 국채 신뢰도 하락 → 달러 약세
한미 금리차 확대 우려 여전, 그러나 과도한 인하 자제

③ 경기 상황

소매판매 지수 3년 연속 마이너스
2025년 성장률 전망 하향 (1.9% → 1.5%)
내수·수출 동반 침체 우려 심화
고금리 유지 시 경기회복 저해
→ 금리 인하 유인이 강하지만 타이밍 조절 필요

4. 관세 전쟁 = 불확실성의 핵

트럼프식 관세 부활무역 환경 급격한 변화
관세 전개 방향, 지속성, 물가 및 수출에 미칠 영향 모두 불투명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판단 지연 요인

결론

요약 정리

항목
내용
기준금리
2.75% (2025년 4월 기준, 동결)
인하 여부
가능성 있으나 ‘무역 불확실성’으로 보류
주요 고려 요소
한미 금리 차이, 원화 약세, 글로벌 금리 트렌드, 내수 경기 침체
전망
5~6월 지표 따라 7월 인하 가능성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