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대한민국 국민들이 몰랐던 서울의 비밀|이렇게 복잡한데 어떻게 서울이 과밀도 도시가 아니라는거지?|다큐프라임

다큐프라임 - 도시예찬: 서울, 과밀의 착각

제목 해석:
"대한민국 국민들이 몰랐던 서울의 비밀|이렇게 복잡한데 어떻게 서울이 과밀도 도시가 아니라는거지?"

개요

서울은 분명 복잡하고 정신없는 도시로 느껴지지만, 수치로 보면 놀랍게도 저밀도 도시라는 사실을 다룬 다큐입니다.
특히 용적률, 건폐율, 체감밀도와 실제 도시 밀도의 괴리를 설명하며, 한국 도시계획의 한계와 대안을 함께 제시합니다.

핵심 내용 요약

1. 서울은 과밀한 도시일까?

인구는 많지만, 용적률(평균 145%)은 유럽 주요 도시보다 낮음.
파리, 런던 등의 도시는 200~300% 수준으로 실제 밀도가 더 높음.
아파트 단지 위주의 도시 구성은 공간은 넓어 보이지만 사람은 더 밀집되어 있는 구조.
전문가 한 마디
"서울의 문제는 절대적 고층화가 아니라 불균형한 공간 활용입니다. 즉, 고층인데도 밀도는 낮은 아이러니죠."

2. 아파트는 과연 도시적일까?

아파트 단지는 건폐율 30% 미만으로 듬성듬성.
반면 다가구, 다세대 주택건폐율 60% 이상으로 훨씬 촘촘하고 ‘도시적’ 밀도를 형성.
그러나 도시 계획은 여전히 단지형 위주의 대규모 개발에 치중되어 있음.

3. 공원이 많은데 왜 느껴지지 않을까?

서울의 1인당 공원 면적은 16.2㎡, 도쿄보다 4배 넓음.
하지만 대부분 산지나 외곽에 몰려 있어 체감이 낮음.
지역별 불균형, 접근성 부족이 체감 녹지율을 낮추는 요인.

4. 도시는 왜 이렇게 조각났을까?

용도지역 분리주의: 주거, 상업, 공원, 교육이 각각 나뉘어 배치.
이로 인해 이동이 길어지고, 자동차 중심 도시가 됨.
‘아보카도 구조’처럼 중심에 상업, 외곽에 주거를 배치한 택지개발 방식은 도시의 유연성을 떨어뜨림.

5. 대안은 ‘복합건축’과 ‘중간밀도’

아파트 대안으로 상가주택, 다세대 주택, 중층 복합건축 제시.
다양한 프로그램이 섞인 공간에서 활기, 커뮤니티, 창의성이 생김.
실제 유럽 도시는 1층 상점+상부 주거 구조가 일반적 (ex. 바르셀로나 가우디의 카사 밀라).

전문가 인사이트: 우리가 고민해야 할 도시 구조

항목
현재 구조
대안 구조
도시 개발
단지형, 대규모 택지개발
골목 기반, 중간밀도 개발
주거
고층 아파트 위주
저층+상업 복합형 건축
도시 이동
자동차 의존형
걷고 머물 수 있는 가로 중심
공원
외곽 집중, 대규모
생활권 내 소규모 녹지 분산
상업시설
중심집중형
골목과 섞인 자영업 중심

결론: 서울은 ‘복합적 저밀도 도시’입니다

서울이 복잡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시스템적 조각화, 즉 공간 기능의 분리 때문입니다.
도시를 ‘높은 아파트’로만 채우기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섞인 중간밀도의 도시 공간이 필요합니다.
마지막 메시지
"무조건 높은 도시가 도시가 아닙니다. 우연히 마주치고, 걷다가 가게 들리고, 눈인사할 수 있는 도시.
그게 진짜 도시다운 도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