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집값 하반기부터 무서울 겁니다, 제가 틀리면 사과하겠습니다 (리치고 김기원 대표)

이 영상에서는 리치고 김기원 대표가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을 이야기하며, 강남 아파트 시장의 과열과 향후 하락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강남 아파트 시장 과열의 원인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인해 강남의 부동산 시장이 급등하고 있음.
2024년 7~8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강남 아파트 가격이 치솟고 있음.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매물이 사라지고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남.

2. 강남 아파트 시장의 위험 요소

소득 상위 10%조차 강남 아파트 구매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가격이 높음.
"주택구입부담지수"에 따르면 강남 아파트 가격은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
월세 수익률 저조: 강남 아파트의 월세 수익률이 1.5%로, 투자 대비 수익이 낮음.
전세가 대비 매매가(PJR) 거품 심화: 전세 대비 매매가 비율이 286%로 역사상 최고 수준.
건설사 및 관련 기업들의 부도 증가: 시장의 실제 상황은 어려우며, 이는 강남 부동산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큼.

3.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시장 변화

서울 내에서도 양극화 진행 중
강남·송파·서초구는 뜨겁지만, 서울 외곽(강동·중랑·동대문·성북구 등)의 미분양 증가.
서울 전체의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분양 시장 분위기는 좋지 않음.
지방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
대구와 세종은 전세 수급이 100을 넘어섰으며, 이는 3년 만에 처음 나타난 현상.
전세 시장이 안정화되면 매매 시장도 서서히 회복될 가능성이 있음.
지방에서 10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매수 찬스가 올 수도 있음.

4.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김기원 대표는 2025년 6월을 부동산 시장의 고점으로 예상하고 있음.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가격 하락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음.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이 40% 이상이며,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이는 경기 침체의 신호일 수 있음.
경기 침체와 맞물려 2025년 하반기부터 강남을 포함한 고가 아파트 시장이 급락할 가능성이 큼.

5. 김기원 대표의 예측과 공약

2025년 6월 말 강남 집값이 연말까지 하락하지 않으면 1,000만 원 기부를 약속.
한국 부동산원의 실거래 가격 지수를 기준으로 판단.

6.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변화

부동산 업계 전문가 및 시장 관계자들은 현재 경제 상황을 **"역대급으로 어려운 시기"**라고 평가.
반면, 경험이 적은 일반 소비자들은 **"벼락거지가 될까 봐 불안하다"**며 매수 조급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음.

7. 정부의 향후 정책 변화 전망

현재 가계대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추가적인 대출 규제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음.
2025년 7월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으로 대출이 더 어려워질 전망.
따라서 현재 강남 부동산 시장의 과열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장기적으로 하락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결론

1.
강남 아파트 시장은 토지거래 허가구역 해제 이후 단기적으로 과열되었지만,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음.
2.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가격 하락이 예상되며, 이는 미국 경기 침체와 맞물릴 가능성이 높음.
3.
서울 외곽 및 지방 부동산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며, 앞으로의 기회는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서 나올 가능성이 있음.
4.
현재 강남 부동산 시장은 역사상 가장 거품이 많은 상태이며, 향후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