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토스
엘토스 홈

30대 가장이 회사 관두고 귀농했다가 빚쟁이 되는 과정ㅣ귀농의 현실ㅣ휴먼스토리ㅣ직업의모든것ㅣ30대자영업자이야기

"30대 가장이 회사 관두고 귀농했다가 빚쟁이 되는 과정" – 영상 요약 및 분석

1. 개요

해당 영상은 38세 자영업자가 자동차 회사를 운영하다가 귀농을 결심하고 딸기 농장을 시작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과 경제적 부담을 겪고 있는 과정을 담고 있다. 스마트팜 시스템을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농업의 현실은 예상과 달랐으며, 현재 월 -500만 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

2. 귀농을 결심한 이유

자동차 회사를 12년간 운영하며 연 매출 2억 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직으로서의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도전을 하고 싶었다.
식물 키우는 것을 좋아해 농업에 관심을 가졌고,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하면 비교적 수월할 것이라 생각했다.
정부의 귀농 지원 정책(40세 미만 저리 융자 지원)도 고려하여 결정.

3. 딸기 농장의 현황

위치: 강원도 강릉
농장 규모: 1,200평(하우스 1,000평)
스마트팜 도입: ICT 기술을 활용해 온도, 습도, 환기 등을 원격 제어
수정 벌 사용: 사람이 직접 수정할 수 없는 부분을 벌이 대신 수행
관수 및 정수 시스템 구축: 바닷가 근처라 염분 제거를 위해 정수기 설치

4. 예상과 다른 귀농의 현실

초기 투자 비용
총 7억 5천만 원 투자(토지 포함)
시설 비용 4억 5천만 원
대부분 정부 융자 지원이지만, 결국 빚으로 남음
노동 강도
하루 16시간 노동
스마트팜이 자동화 시스템이지만, 작물 관리 및 운영에는 여전히 많은 인력이 필요
농업은 결국 사람이 직접 관리해야 하는 영역
경제적 현실
현재 월 마이너스 500만 원 적자
귀농 전 예상했던 5년 내 투자 회수 → 현실은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
생활의 변화
도시 생활에서는 수입과 생활 계획을 세울 수 있었지만, 농업은 변수가 많아 안정성이 부족
가족과의 시간은 늘어났지만, 경제적 부담이 큼

5. 후회와 현실적인 조언

다시 선택할 기회가 있다면 귀농하지 않을 것
귀농이 생각보다 어려운 과정이며, 청년 농부 비율이 1% 이하로 줄어드는 이유를 실감
농업을 시작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하고자 유튜브 출연 및 교육 활동

6. 결론 및 시사점

귀농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충분한 사전 조사와 철저한 계획이 필수적
스마트팜 기술이 도입되었더라도 농업은 자동화가 어려운 분야
정부 지원이 있지만, 대부분이 융자로 이루어져 있어 리스크가 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농업을 바라봐야 하며, 단기간 수익 창출은 어려움
농업이 단순한 생계 수단이 아니라 정년이 없는 지속 가능한 직업이 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
결론:
귀농은 단순한 열정과 낭만으로 접근할 수 없는 분야이며, 경제적 부담과 노동 강도를 현실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농업의 보람과 장기적인 가능성을 생각하면 꾸준한 노력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