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본 영상은 미국의 관세 정책과 경제 정책 변화의 배경을 분석하며, 트럼프 전 대통령 개인의 성향 때문이 아니라, 미국 경제 구조 자체의 조정 사이클의 일부임을 강조합니다.
•
오건영 이코노미스트가 등장하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미국 내 강경파 인사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략, 그리고 달러의 구조적 문제까지 총체적으로 짚어냅니다.
본문 요약
1. 자산 시장 상승, 그리고 양극화
•
팬데믹 이후 풀린 **유동성(돈)**이 주식과 부동산 시장을 자극했지만, 그 수혜는 **상위 10%**가 독점.
•
하위 50%는 올라버린 집값, 물가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과 빈부 격차 심화를 경험.
2. 관세 정책의 배경: 트럼프만의 문제가 아니다
•
트럼프가 다시 부각되는 관세 정책은, **'미란 보고서'**라는 경제 보고서를 바탕으로 추진되는 체계적 전략.
•
주도 인사: 스티브 마이런, 라이트하이저, 제이미슨 그리어, 피터 나바로 등 모두 중국 견제에 강경한 입장.
•
특히 피터 나바로는 중국 무역에 대한 피해의식이 강하고, 자국 중심 무역 강화론자.
3. ‘점진적 관세’와 배센트 재무장관의 현실주의
•
배센트 장관은 과격한 강경파들과 달리 시장 안정과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중시.
•
그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일시적"이라고 판단, 그러나 통화정책의 정치화는 우려함.
•
무역흑자국이 미국 국채를 사들이며 달러 강세 유지, 그 구조적 문제를 관세로 해결하려는 시도.
4. 미국 달러 시스템의 구조와 위기
•
미국은 무역적자를 감수하며 외국으로 달러를 보내고, 해외는 달러를 다시 국채로 재투자하는 구조.
•
이 구조는 미국에게도, 세계에도 유리했지만, 미국은 이제 이를 ‘불공정’하게 인식.
•
'달러를 빌려주고 또 다시 빌려주는 구조'에 미국이 분노하고 있는 상황.
5. 미국의 ‘관대한 무시(Benevolent Neglect)’ 전략
•
기존엔 무역적자 등 구조적 불균형을 방치하다가, 어느 순간 극단적으로 조정 (예: 플라자합의).
•
지금도 그런 전환점이 다가오는 중이며, 트럼프든 누구든 필연적으로 조정은 필요했을 것.
6. 달러 약세가 의도대로 흘러가는가?
•
현재의 달러 약세는 트럼프가 기대한 "경쟁력 확보용" 약세가 아니라, 신뢰 하락에 따른 비정상적 약세.
•
금리 하락, 성장 둔화 우려 등으로 인해 달러 신뢰가 구조적 흔들림을 받고 있음.
7. 세계 질서의 재편 가능성
•
미국 중심 질서가 신뢰를 잃으면, 각국은 **대안 질서(CPTPP, EU-FTA 등)**로 분산될 수 있음.
•
한국도 새로운 "카톡방" = 무역 동맹 내에서 유연하고 전략적인 입지를 다져야 한다는 조언.
결론
•
미국의 관세 정책은 트럼프 개인의 특이성이 아니라, 미국 경제 구조 조정의 연장선입니다.
•
앞으로도 강경파와 현실주의자 간의 힘겨루기 속에서 미국의 통상정책은 다소 유연하게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한국은 단일국 의존 리스크를 낮추고, 무역 다변화와 정책 대응 유연성을 확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