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선정 이유 및 경제적 이익 전망
현대건설은 해외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경험이 풍부한 국내 대표 건설사로,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의 사회 기반 시설 복구 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객관적인 근거
1.
우크라이나 정부와 사전 협력 진행
•
2024년 현대건설은 우크라이나 보리스필 국제공항 복구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 의향서를 체결하였으며, 이후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받아 대형 공공 인프라 재건에 참여할 계획입니다.
•
우크라이나의 국토 인프라부(Ministry of Infrastructure of Ukraine)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 건설사와 협력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2.
해외 인프라 수주 실적
•
현대건설은 2023년 기준 해외 건설 수주액 13조 원을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입증하였습니다.
•
특히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어, 전쟁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의 도로, 철도, 발전소, 공항 복구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3.
정부 및 국제기구 지원 가능성
•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프로젝트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유럽연합(EU) 기금의 지원을 받아 진행될 예정이며, 한국 정부도 금융 지원을 검토 중입니다.
•
현대건설이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바탕으로 국제 입찰에 참여할 경우, 수익성 높은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상 경제적 이익
•
2025~2030년 사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관련 수주 예상 규모 30조 원 이상
•
러시아 및 주변국까지 확장할 경우 총 수주액 50조 원 이상 가능
•
중동 인프라 시장과 더불어 글로벌 매출 성장 기대
포스코홀딩스 (POSCO Holdings)
선정 이유 및 경제적 이익 전망
포스코홀딩스는 철강, 건설 자재, 배터리 소재 등 전후 복구에서 필수적인 산업을 다수 보유한 기업으로,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재건 사업에서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큽니다.
객관적인 근거
1.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철강 수요 폭발적 증가 예상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철도, 교량, 발전소, 주택 등 6만 개 이상의 건축물이 파괴되었으며, 이를 재건하기 위해 대량의 철강이 필요합니다.
•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정부는 2025년 이후 연간 철강 수요를 최소 1억 톤 이상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전쟁 이전보다 40% 이상 증가한 수준입니다.
2.
포스코의 글로벌 철강 공급망 장악력
•
포스코는 **전 세계 철강 생산량 6위(2023년 기준, 약 4,060만 톤 생산)**의 글로벌 철강업체로, 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중국, 미국 등 다수의 거점에서 철강을 생산하고 있음.
•
기존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에서 공급받던 철강 제품이 전쟁으로 인해 생산 차질을 빚자, 포스코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음.
3.
고급 철강 수요 증가 및 가격 상승
•
전쟁으로 인해 특수 강재, 고강도 철강(건축 및 인프라용 철강)의 가격이 2024년 대비 약 20% 상승하고 있으며, 포스코는 고급 철강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2025년 이후 우크라이나의 대형 건설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 포스코의 철강 수출량 및 수익성 급증이 기대됨.
4.
포스코의 전후 재건 시장 진출 준비
•
포스코는 유럽 주요 철강 수요국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철강업체 Metinvest와 협력 가능성을 타진 중임.
•
한국무역협회(KITA)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철강업체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 차지할 시장 점유율이 최대 2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예상 경제적 이익
•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전후 철강 공급량 1억 톤 증가 예상
•
포스코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시장 내 연간 철강 매출 10조 원 이상 증가 가능
•
철강 가격 상승에 따른 순이익 증가율 30% 이상 전망
결론
이 두 종목은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전후 재건 사업에서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이며, 정부 및 국제기구의 지원과 맞물려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